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hub token
- 에러
- php
- database
- console창
- 클론
- import data
- 깃 토큰
- Visual Studio Code
- PHPStorm
- run sql script
- cmd
- csv
- 따옴표 삭제
- error 해결
- github clone
- 데이터베이스
- localhost
- visualstudio code
- Python
- DataGrip
- clone
- MySQL
- 오류
- 단축키
- OrCAD 다운로드
- vscode
- error
- jupyter
- 파이썬
- Today
- Total
개발 노트
3/23 4주차 : 유동적인 정적 라우팅 본문
* 라우팅 테이블 : show ip route
*configuration : show running-config
고정라우팅은 경로가 고정되어 있어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대체 경로가 없다. 하지만 유동적인 정적 라우팅은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 경로를 설정한다.
그림과 같이 원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 방향으로 경로 배정을 해 주는 것이 좋다.
R1 -> R2 -> R3 -> 다시 R1
또는
R1 -> R3 -> R2 -> 다시 R1
[packet tracer로 실습]
1. cisco 3650 3대와 PC 3대놓기
2. PC -> config에서 가장 상단의 회로 그림과 맞게 PC이름 편집
3. PC와 Switch 연결
PC는 FastEthernet0을 선택
Switch는 1/0/1을 선택
4. Switch끼리 연결
상단 그림에 그려진 GigabitEthernet 토대로 설정
5. Switch들의 power supply 제공
6. Switch0의 CLI (R1 설정)
결과
설정 저장
7. Switch1의 CLI (R2 설정)
결과
8. Switch2의 CLI (R3 설정)
결과
9. PC gateway는 자신과 연결되어있는 스위치의 ip주소로 설정한다.
PC1의 경우
FastEthernet0의 IP Address는 자신의 ip 값으로 설정한다.
PC2는 Gateway : 172.16.5.1 / 자신의 IP add : 172.16.5.2 / Subnet mask : 255.255.255.0
PC3는 Gateway : 172.16.4.1 / 자신의 IP add : 172.16.4.2 / Subnet mask : 255.255.255.0
10. pc ping test
1) 자기 자신 ping test
2) 자신과 연결되어있는 switch ping test
기타 다른 PC2, PC3도 테스트 할 수 있다.
[장애 발생 대비]
라우터 R1과 라우터 R2 사이에 장애가 발생하면, 라우터 R1과 라우 터 R3 간에 통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 경로를 만들어야 한다.
"ip route 172.16.4.0 255.255.255.0 172.16.2.2" 구문은 라우터 R1에서는 PC3(네트워크 172.16.4.0)로 가기 위해 라우터 R2를 경유하는 설정이고, distance 값은 "1"이다.
이 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ip route 172.16.4.0 255.255.255.0 172.16.6.1 250"이라는 구문을 추가한다.
이 구문은 라우터 R1이 라우터 R3(172.16.6.1)를 경유하는 설정이고, distance 값은 "250"이다.
라우터 R1은 평상시 라우팅 테이블에서는 첫 번째 신뢰도가 높은 라우터 R2(172.16.2.2)로 보낸다.
하지만, 라우터 R1과 라우터 R2 사이에 장애가 발생하면, 두 번째 백업 경로인 라우터 R3(172.16.6.1)로 보내게 된다.
1. R1(Switch 0)의 CLI에서 250 설정
밑에서 세 번째 줄에 172.16.4.0은 172.16.2.2로 보내지게 되어 있다.
2. R2의 CLI에서 R1과 R2 연결을 강제로 끊음
3. 다시 R1의 CLI에서 확인해보면
밑에서 두 번째 줄에 172.16.4.0이 172.16.6.1로 보내지게 변경되어 있다.
'학부 공부 : 21.03.02~06.20 > 인터넷 이론 및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 6주차 IP Address, Subnetting, D_서브네팅, RIP(Routing_Information_Protocol) (0) | 2021.04.19 |
---|---|
3/30 5주차 : RIP와 Passive interface (0) | 2021.04.19 |
3/16 3주차 : 고정적인 정적 라우팅 (0) | 2021.04.13 |
3/9 2주차 수업 (0) | 2021.04.13 |
3/2 packet tracer 다운 (0) | 2021.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