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개발 노트

9/8 p.53 리눅스의 계층적 구조 본문

학부 공부 : 20.08.31~12.10/Linux

9/8 p.53 리눅스의 계층적 구조

hayoung.dev 2020. 9. 8. 15:45

 

그림 2-3

ㆍ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사용자모드, 함수)에서 system call을 통해 OS(커널모드)로 들어감.

ㆍ OS(커널모드,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 - 하드웨어 (디바이스(문자, 블록, 네트웤), 주번호, 부번호)

ㆍ 문자는 c가, 블록은 b가, 네트웤은 n이 앞에 표시됨.

ㆍ c언어에서 scanf/printf가 read/write의 역할을 하는 것처럼 Linux에서는 ID open (/dev/ttys0) 을 사용

   ex) $ls dev를 입력하면 디바이스 파일들을 보여줌

 $ /dev/null : 블랙홀, 파일을 삭제함

   ex) cp xx /dev/null : cp를 dev/null로 복사한다. 지운다는 뜻.

 tty : 타자기, 모니터, 화면, 터미널을 의미함.

반응형